본문 바로가기
1분생활건강 다이어트

살 안찌는 탄수화물이 있다?

by 1분생활건강 2022. 3.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1분을 통해 생활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는 1분생활건강입니다. 최근 논문과 트렌드 역시 탄수화물에 주목합니다. 예전에는 열량을 기준으로 지방의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맞다라는 이야기에서 탄수화물을 제한하거나 조절해야한다는 말이 많습니다.



이에 관련에 저탄고지 다이어트도 유행입니다. 탄수화물을 제한하고 지방의 섭취량을 늘리는 것입니다. 이런 원리를 바탕으로 파생된 다양한 다이어트들도 있습니다. 여기서 탄수화물이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보다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쉬운 몸상태로 만들어 주는 것이기도 합니다.


또 탄수화물을 섭취를 제한하는 보조제도 늘고 있습니다. 탄수화물 컷팅제는 음식을 먹고 보조제를 먹어 탄수화물의 섭취를 제한합니다.

탄수화물은 섭취와 소화 및 흡수되는 과정에서 살을 많이 찌게 합니다. 또 탄수화물은 중독이 있어 먹고 있어도 더 먹고 싶어지고 생각나고 섭취하고를 반복하기도 합니다. 생각보다 탄수화물을 절제하는 일은 어렵습니다.
이런 탄수화물의 다이어트의 악영향에 대해서 전문가들의 의견이 분분하기도 하지만 결국은 건강한 다이어트는 골고루 영양분을 섭취하는 것입니다.


왜 탄수화물은 살이 찌게 되는 것인가요? 탄수화물은 소화, 흡수되는 과정에서 포도당형태로 혈액을 돌아다니게 됩니다. 혈액내 포도당은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필요한 곳에 에너지원이 됩니다. 예를 들어 장기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우리가 근육을 사용할 때 근육에 에너지원으로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근육량을 늘리려는 사람들에게 전문가들은 운동전에 식사를 못햇다면 과일쥬스와 같은 빠르게 당의 형태가 흡수될 수 있는 음료를 섭취하라고 하기도 하는 이유입니다. 또 두뇌사용에 필요한 에너지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렇듯 다양한 곳에 탄수화물에서 변환된 포도당은 에너지원으로 역할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과하게 혈액내 포도당으로 들어오게 된다면 우리 몸은 항상성을 유지해야 되므로 호르몬이 나오게 됩니다. 이 호르몬은 '인슐린'으로 성인병과 당뇨를 겪는 분이라면 쉽게 들었을 호르몬 입니다.



인슐린은 혈액내 당의 수치를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원의 필요한 포도당을 제외한 잉여 포도당을 지방의 형태로 저장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살이 찌게 되는 것입니다.
살이 빠지려면 우선 포도당이 적게 들어오거나 천천히 들어와 충분히 에너지를 주더라도 적절량의 포도당이 유지될 수 있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당을 빠르게 올리는 음식은 밀가루 음식(빵, 면 등), 쌀가루 음식인 떡 등이 있습니다.

살 안찌는 탄수화물은 혈당을 천천히 올려주거나 소화를 느리게 해 혈액내 포도당 흡수가 느린 음식이 되겠습니다. 첫번째로 현미가 있습니다. 현미는 흰쌀을 도정하기 전상태의 쌀을 의미 합니다. 현미는 왕겨를 함유하고 있으며 식이섬유가 풍부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며 포만감에 도움을 줍니다. 변비예방에도 도움을 줍니다.


두번째는 귀리입니다. 혈당을 천천히 올릴 뿐아니라 영양분이 풍부합니다. 귀리는 오트밀이라고도 불리며 단백질, 필수아미노산, 수용성 섬유질이 풍부합니다. 식감이 거칠지만 타임지에서 10대 슈퍼 푸드로 선정 될 만큼 몸에 건강한 식품입니다.


세번째는 바나나 입니다. 바나나는 칼륨과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100g 에 93kcal로 칼로리가 낮은 것으로 유명합니다. 다이어트하는 사람들에게 자주 애용되는 과일입니다. 바나나는 식이섬유가 있어 변비예방과 포만감제공으로 다이어트에 도움이 됩니다.


네번째는 고구마 입니다. 고구마는 영양분이 풍부하며 식이섬유 역시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100g 120kcal로 비교적 적은 칼로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구마는 식이섬유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포만감과 변비예방에 도움이 되며 고구마는 천천히 혈당을 올려 칼로리가 낮은 감자보다 다이어트에 더 유익한 식품입니다.



오늘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건강한 다이어트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