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1분을 통해 생활건강의 증진에 도움을 주는 1분생활건강입니다. 새해가 시작된지 얼마 안됬는데요. 가장 많이 하는 결심중 하나는 단연 다이어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남녀노소 모두가 시작하는 다이어트 항상 실패와 좌절을 맛보기도 합니다.
우선 하는 과정이 매우 괴롭고 버텨가야하는 과정들이 많이 있기 때문입니다. 누구는 다이어트 한다고 닭가슴살을 사놓고 냉동고에 넣어두고 하나 두개 먹다가 못먹겠다며 포기하는 사람도 있으며 운동으로 다이어트를 하겠다는 사람은 일주일 정도 나가고 안가기도해 헬스장에 연초마다 기부하는 사람들이 있기도 합니다.
다이어트 해야겠다는 사람들은 대부분 욕심이 많기 때문에 처음부터 거창하게 생각하며 준비를 많이 해야될 것 같고 대단한 결심을 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이 과정에서 분명히 부담스러워 하며 다이어트 시작을 어려워 하는 모습이 자주 관찰됩니다.
또 인간의 특성상 익숙한 것에 대한 안정감을 좋아하기 때문에 새로운 것을 도전하는 것을 뇌에서도 거부하는 모습을 보이고 불편해 하기도 합니다. 새로운 것을 하면 불편하고 몸 역시 새로운 동작으로 근육을 사용해 근육통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다이어트를 대부분 포기하는 시점이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기간입니다. 다이어트 하다 정체구간이 온다고 이를 포기하는 사람보다 초기 다이어트에 대한 강한 거부감과 스트레스, 환경에 대한 불편감 등에 적응을 못하고 그만 두게 되는 것입니다.
다이어트를 성공하기 위해선 어떻게 시작을 할 것인지, 어떻게 이 포기가 많은 초반구간을 버텨나갈 것인지에 대해서 집중 한다면 확률은 높을 것입니다. 첫걸음부터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설명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다이어트를 한다면 부담없이 시작하자
다이어트를 한다면 부담없이 시작하자라는 말은 일부 전문가들은 무책임한 말이라고 할 것입니다. 다이어트를 설렁설렁 한다는 말이 될 수도 있습니다. 처음부터 전문가의 1:1 코칭이 상당한 도움이 되겠지만 비용과 시간을 많이 들여야 하기때문에 부답스럽습니다.
그래서 우리의 목표는 생활 속 건강을 위한 건강한 다이어트를 꾸준히 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하며 본인이 원한다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시점까지 혼자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이어트를 부담없이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음가짐과 운동과 식단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기 앞서 흔들리면 안되는 것은 초반에 다이어트를 하려 할 때 의욕이 앞서 초반에 무리하게 다이어트를 한다는 것은 강철의 멘탈이 아니고서 최대한 빨리 실패하는 길로 접어드는 길이니 부디 본인의 컨디션에 맞게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다이어트는 이런 생각으로 시작하면 됩니다.
다이어트는 시작이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초반에는 어느 것도 신경쓰지 마시고 최소한의 것을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대부분이 실패하는 시점은 1달입니다. 사람에 따라 1달 내에 그만 두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선 1달만 해보기를 추천합니다. 단 목표를 한달만 해보자가 아닌 3일만 해보기, 그 다음 1주일 채우기,
2주만 해보기 등을 통해 점점 기간을 늘려가시길 바랍니다.
시작이 반이기 때문에 남들이 볼 땐 저게 무슨 다이어트야 라는 비난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결코 동요하지 않으시고 본인의 페이스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다이어트를 하시는 분 중 기간을 정해놓고 '몇 개월동안 얼마를 빼갰어.'와 같은 단기 목표를 두고 시작한다면 큰 의미가 있지 않습니다. 꾸준히 해야하며 내 패턴에 맞춰서 컨디션에 맞춰서 좋아하는 운동과 식단을 두고 해야합니다.
오늘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 다이어트 시작을 망설이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내용이며 이 글을 보고 꼭 시작해보셨으면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분생활건강 다이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만감을 쉽게 느끼는 식사법은? (0) | 2022.03.31 |
---|---|
배고픔을 잊게 하는 방법은? (0) | 2022.03.31 |
남자들의 살빼기 방법은? (0) | 2022.03.30 |
편의점에서 먹을 수 있는 다이어트 식품 Best5 소개하겠습니다. (0) | 2022.03.29 |
중년여성 다이어트 전 주의사항은? 꿀팁은? (0) | 2022.03.29 |
댓글